정토경전대학에서 법륜스님의 [반야심경] 강의를 듣고 새길겸 정리하고 있습니다.^^
이번주는 반야심경의 대승 불교에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실천원리에 대해 얘기해봅니다
대승불교의 사상은 공사상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부처님의 말씀 즉 법상에 의해서만 불교를 이해하고 있는 소승불교에 대한 비판을 했습니다.
<보리살타>
대승불교에서 보디샤트바를 보리살타라고 하고, 줄여서 보살이라고 합니다.
즉, 보살은 대승 수행자를 말하며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는 중생이라는 뜻입니다.
실제 있는 세상을 그대로 아는 지혜를 증득한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대승불교는 성별,계급등에 차별을 두지 않고 발보리심을 내었는지 내지 않았는지가 중요하며 발보리심을 낸 사람이면 누구든지 부처가 될수 있다고 말합니다.
<의반야바라밀다고>
모든 보살은 반야바라밀다 수행을 합니다.
반야 : 깨달음의 지혜
바라밀 : 괴로움에서 벗어남
풀어서 쓰면,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는 중생은 깨달음의 지헤를 통해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수행을 합니다.
반야바라밀다는 실상반야,관조반야,방편반야를 포함합니다.
육바라밀(보시,지계,인욕,정진,선정,반야) 모두 포함합니다.
<심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심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모든 것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면 마음에 장애,걸림돌이 없고 두려움도 없습니다.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
잘못된 헛된 생각(제법이 공한줄 모르는 생각)에서 멀리 떠나 깨어나면 마침내 괴로움이 없는 경지 열반에 이르게 됩니다.
<의반야바라밀다고 득아뇩다라삼먁삼보리>
제법이 공하다는 것을 깨닫는것이 중요합니다.
아뇩다라 : 무상
삼먁삼보리 : 정등각, 정변지 (바르고 합당하고 보편적이고 평등한 최상의 깨달음)
모든 대승보살은 반야바라밀다 수행을 통해 완전한 깨달음을 얻었으며 대승불교의 위대한 사상을 강조합니다.
<고지 반야바라밀다 시대신주 시대명주 시무상주 시무등등주>
수행에서 가장 중요한 4가지 신,해,행,증
- 신(信) : 믿음
- 해(解) : 이해 (이치를 앎)
- 행(行) : 실행 (실천)
- 증(證) : 증득 (체험을 통해 깨달음)
시대신주 : 깨달음보다 더한 믿음은 없다.
시대명주 : 깨닫는것이 어떠한 앎보다 위대하다.
시무상주 : 반야는 확연한 꺠달음으로 최고의 실천이다.
시무등등주 : 확연히 꺠달으면 더 높아서 비교대상이 없다.
깨달음의 중요성을 이야기 합니다.
<능제일체고 진실불허>
제법이 공한 도리를 증득하면 모든 괴로움에서 벗어나서 자유롭습니다.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아제아제 : 가세 가세
바라아제 : 괴로움이 없는 세계로 가세
바라승아제 : 저 언덕에 도달하였네
모지 사바하 : 꺠달음을 이루게 하소서
------------------- > 가세가세, 저 언덕으로 건너가세, 저 언덕에 도달하여 깨달음을 이루세.

지해(智海) 의 한 줄 요약
대승불교에서 진정한 깨달음(진리)을 얻기 위해서는 신(믿음), 해(앎), 행(행동), 증(증득) 네가지를 실행 해야 합니다. 바른믿음과 이치를 앎과 함께 반드시 실천을 통해서만이 깨달음을 이룰 수 있습니다.
깨달음의 중요성을 이야기 합니다.
본질을 꿰뚫어 보아야 하며 사실을 사실대로 알아야 합니다.
제법이 공한 진실을 알아야 합니다.
반야바라밀다 수행을 통해서만이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불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륜스님 - [육조단경] 즉심즉불 - 내 마음이 곧 부처입니다. (0) | 2025.01.16 |
---|---|
법륜스님 - [육조단경] 6조 혜능대사의 선불교 법문을 설한 배경 (직지인심 견성성불) (2) | 2025.01.11 |
법륜 스님 -[반야심경]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3) | 2024.12.05 |
법륜 스님 -[반야심경] 색즉시공 공즉시색 수상행식 역부여시,무상,무아,연기법 (5) | 2024.11.27 |
법륜스님 - 반야심경의 배경과 관세음보살 (2) | 2024.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