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불교이야기15

법륜스님 - [화엄경] 모든 것은 내마음에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일체유심조] 원효대사의 해골몰 일화 정토경전대학에서 법륜스님의 [화엄경] 강의를 듣고 새길겸 정리하고 있습니다.^^ 반야심경 다음으로 법화경, 화염경 순으로 공부를 했는데 바빠서 이제야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2025.01.18 - [불교이야기] - 법륜스님 - [법화경] 회삼귀일,개시오입 - 모든 사람이 부처가 될 수 있습니다. 화엄경은 대승경전에 속하는 경전으로, 크고 바르고 넓고 한량이 없는 부처님의 지혜를 꽃에 비유한 것입니다. 즉, 여러가지 꽃들이 어우러져 있는 모습을 뜻하며, 세상의 모든 존재들이 서로 다르지만 어우러져 있음을 나타냅니다. 천태종 : 부처님이 열반 전에 설하신 법화경 중심으로 창시화엄종 : 부처님이 깨달음을 얻자 마자 직설한 화엄경 중심으로 등장 대승경전이 출현하면서 가장 초기 경전은 금강경, 반야심경이고 회삼귀.. 2025. 2. 3.
법륜스님 - [육조단경] 선불교의 발전과 변화과정(스스로 세상에서 가장 존귀한 존재임을 알아야 합니다.) 정토경전대학에서 법륜스님의 [육조단경] 강의를 듣고 새길겸 정리하고 있습니다.^^이번주는  불교 용어가 많이 나와서 듣고 따라가는데에 집중하는 공부였습니다.  2025.01.14 - [불교이야기] - 법륜스님 - [육조단경] 즉심즉불 - 내 마음이 곧 부처입니다.      달마대사가 출현한 이후 선 수행자들은 능가경이 중심이었고, 6조 혜능 대사 이후에는 금강경이 중심을 이루게 되었습니다.   불교는 자유롭고 행복해야 하는 것인데 권위적, 관념적 철학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가지고 등장한 것이 선불교입니다. 삼신- 부처님의 3가지 몸1) 청정법신 : 비로자나불 (본래의 마음)2) 원만보신 : 노사나불 (성품으로 나오는 지혜)3) 천백억 화신 : 석가모니불 (인연따라 행해지는 행) 지성삼보 : 법신, 보신,.. 2025. 1. 23.
법륜스님 - [법화경] 회삼귀일,개시오입 - 모든 사람이 부처가 될 수 있습니다. 정토경전대학에서 법륜스님의 [법화경] 강의를 듣고 새길겸 정리하고 있습니다.^^ 반야심경 다음으로 법화경 공부를 했는데 바빠서 이제야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2024.11.20 - [불교이야기] - 법륜스님 - 반야심경의 배경과 관세음보살   알라딘 온라인 서점에 한글 법화경 사경1 이 미리보기가 조금 있어서 링크 공유합니다.^^https://www.aladin.co.kr/shop/book/wletslookViewer.aspx?ItemId=59908757  대승 불교가 대중의 지지를 받아서 하나의 세력을 이루게 되었고, 기존의 불교를 비판하는 것만으로는 더이상이 확산이 어렵다고 여겨 기존의 불교도 함께 받아들여야 한다는 취지로 등장하게 된 것이 법화경, 화엄경입니다.즉,  소승불교 다음으로 대승불교가 이어.. 2025. 1. 18.
법륜스님 - [육조단경] 즉심즉불 - 내 마음이 곧 부처입니다. 정토경전대학에서 법륜스님의 [육조단경] 강의를 듣고 새길겸 정리하고 있습니다.^^ 이번주는 6조 혜능대사의 법문으로 전해지는 육조단경의 핵심내용을 이야기 해봅니다. 2025.01.11 - [불교이야기] - 법륜스님 - [육조단경] 6조 혜능대사의 선불교 법문을 설한 배경 (직지인심 견성성불)     즉심즉불부처가 마음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마음이 곧 부처입니다.내 마음이 어리석으면 중생이라하고 내마음 깨달으면 부처라 합니다.즉, 내 몸과 마음이 곧 정토입니다.  선불교의 특징이기도 한 육조단경은 복잡하고 심오한 교리들을 단순하고 간결하게 해 놓았습니다.  깨달음의 지혜로서 원래 가지고 있는 꺠달음을 보기만 하면 된다는 뜻입니다.어리석은 사람이나 지혜로운 사람의 불성에는 차이가 없습니다.단지,  스스.. 2025. 1. 16.
법륜스님 - [육조단경] 6조 혜능대사의 선불교 법문을 설한 배경 (직지인심 견성성불) 정토경전대학에서 법륜스님의 [육조단경] 강의를 듣고 새길겸 정리하고 있습니다.^^ 이번주는 중국불교의 주류를 이루었던 선불교의 주요 내용과 육조단경의 배경에 대해 이야기 해봅니다.   인도의 불교가 중국으로 들어오면서 소승불교보다 대승불교가 좀 더 적극적으로 발전하면서 자리를 잡게 되었고, 중국의 5호 16국 시대에 전진이라는 나라의 왕 부견이 구마라집 대사를 초빙하여 [반야심경, 금강경, 법화경] 경전을 번역하면서 더욱더 불교가 광범위하게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법화경 중심의 천태종과 화엄종, 정토종 등 다양한 종파로 나뉘게 되고, 왕권중심의 불교에 대한 문제 의식을 가지고 새롭게 등장한 것이 선불교입니다.즉, 많은 종파로 분리되어 있고, 이러한 여러가지 이론들을 간략하게 요약해서 설하고자 등장한 .. 2025. 1. 11.
법륜 스님 -[반야심경] 신해행증,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정토경전대학에서 법륜스님의 [반야심경] 강의를 듣고 새길겸 정리하고 있습니다.^^ 이번주는 반야심경의 대승 불교에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실천원리에 대해 얘기해봅니다   대승불교의 사상은 공사상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부처님의 말씀 즉 법상에 의해서만 불교를 이해하고 있는 소승불교에 대한 비판을 했습니다.  대승불교에서 보디샤트바를 보리살타라고 하고, 줄여서 보살이라고 합니다.즉, 보살은 대승 수행자를 말하며 깨달음을 향해 나아가는 중생이라는 뜻입니다.실제 있는 세상을 그대로 아는 지혜를 증득한 사람이라는 뜻입니다. 대승불교는 성별,계급등에 차별을 두지 않고 발보리심을 내었는지 내지 않았는지가 중요하며 발보리심을 낸 사람이면 누구든지 부처가 될수 있다고 말합니다.     모든 보살은 반야바라밀다 수행을.. 2024. 12. 12.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