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이야기

법륜스님 - 반야심경의 배경과 관세음보살

by 지해(智海) 2024. 11. 21.

정토경전대학에서 법륜스님으로부터 금강경에 이어 '반야심경' 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절에서 가장 많이 듣게 되는 반야심경!!!
드디어 반야심경에 대한 깊은 뜻을 배우게 되니 더 깊이 새겨 듣게되는것 같아요^^
주요한 내용 정리겸 포스팅 합니다.!

<불교의 가르침과 반야심경>

불교는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중생, 보살이 주인입니다.
우리가 흔히 절에서 듣는 반야심경의 독송은 반야심경의 약본입니다.
실제 핵심내용은 정종분입니다.
 
 

<반야심경의 배경>

부처님이 인도 마다국의 수도인 왕사성의 기사굴산에 계시면서  부처님의 제자 중 가장 지혜가 높다는 사리불이 관자재보살마하살에게 물음을 하고, 관자재보살마하살이 대답하는 것을 듣고 증명을 함으로써 경전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기본 경전은 육하원칙에 의해서 기록되지만 반야심경은 이처럼 부처님이 사리불과 관자재보살마하살의 질문과 대답속에서 해답을 증명하는 형식으로 다르게 기록됩니다.
 
반야심경에서 관세음보살은 여기서 관자재보살을 말합니다.
 


<반야심경의 구조>

소승경전은  4개의 경전으로 구분되어 있고, 대승경전은  5부  나누어져 있습니다.
방등부
반야부
법화부
열반부
화엄부
 
그중 금강경과 반야심경은 대승경전의 반야부에 속하며 반야부는 600권의 경전이 있고, 그중 반야심경은 578번째 경전에 속합니다. 
 
반야심경은 중요한 핵심내용(정종분)이 있는 약본과 전체 내용이 있는 광본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독송은 정종분만 하고 있습니다.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의 의미>

'마하'는 무한대를 뜻합니다.
'반야'는 완전한 깨달음을 얻는 지혜를 뜻합니다.
'바라밀' 은 괴로움에서 벗어남을 뜻합니다.
'심경' 은 핵심 경전을 뜻합니다. 
 
즉, 한량없이 크고 완전한 깨달음의 지혜로 괴로움에서 벗어나기 위한 부처님의 말씀입니다
 
금강경은 다이아몬드 수트라 ,반야심경은 하트 수트라 라고도 합니다. 
 

<반야심경의 핵심사상>

반야심경은 대승경전의 핵심사상으로 오온이 공한줄 알면 모든 괴로움이 사라지고 깨달음, 열반에 이르게 됩니다.
반야심경에서는 소승사상을 비판하고, 대승의 위대함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소승불교는 세속에 물들지 않는 곳에서 수행을 한다면, 대승불교는 중생에 물들지 않고 중생을 구제하고자 합니다..
 
<보살의 의미>
보디사트바의 약자로서 보리살타, 보살로 줄여서 씁니다
'보리'는 깨달음, '살타'는 어리석음을 나타내는 말로서 보살은 깨달은 중생이라는 뜻입니다.


<관세음보살의 설화>

인도 남쪽 바닷가의 장자가 부인을 잃고 새부인과 결혼을 하였는데 처음에는 새부인이 전부인의 아이들을 너무 잘 돌보다가  남편인 장자가 없는동안 미래에 대한 두려움으로 무인도에 두 아이들을 버리게 됩니다.

이때, 동생은 죽게 되고, 점점 자신을 버린 새엄마와, 일찍 돌아가신 친엄마며.. 모든것을 원망하다가 나중에는 꺠달음을 얻어 누구든지 자신의 이름을 부른다면 그들이 원망하지 않도록 타인을 도와줘야겠다(구제)는 마음을 먹습니다.

이 설화가 지금의 관세음보살이 되었습니다
관세음보살은 실제적 인물인지는 정확하지는 않지만,  설화가 관음신앙으로 형성화 되었고, 관세음보살의 독립신앙이 되고, 관음전을 세우게 됩니다.


<행심반야바라밀다시 조견오온개공 도일체고액>

반야바라밀의 육바라밀
 
1. 보시바라밀 : 베풀어서 괴로움에서 벗어난다. 무주상보시가 보시바라밀다입니다.
  1) 재보시 : 재물을 보시
  2) 법보시 : 어려운 사람에게 진리를 깨우치게 해주는(전법) 보시
  3) 무외시 :  두려움이 없도록 봉사로 도와주는 보시
  
2. 지계바라밀 : 계율을 지켜서 괴로움에서 벗어난다. 계를 지킨다는 생각도 없다.
3. 인욕바라밀 : 참는다는 생각이 없는, 참을 것이 없는 참음
4. 정진바라밀 : 노력한다는 생각없이 꾸준히 하는 것, 하기싫은 것을 노력하는 것이 아니라 좋아서 그냥 하듯이 하는 것이다. 
5. 선정바라밀 : 명상을 통해 마음을 고요히 하려고 애쓸 것이 없는 것.
6.지혜바라밀 : 자신의 마음, 감각에 대해 알아차림을 유자하는 것
 

<조견오온개공>
 조견 : 확연히 깨달았다.
 오온 : 색,수,상,행,식
 개공 : 모두 공하다.
  -> 있는 그대로 보니 색수상행식이 모두 공하다는 것을 확연히 깨달았다. 
 
 
<대승보살은 육바라밀>
 
관세음보살은 오온이 공하다는것을 깨닫고 직접 체험 했기 때문에 괴로움이 없어졌지만,
일반 사람은 듣고 이해만 했으니 계속 괴로울 수밖에 없습니다.
 
소승보살은 본인만 구제한다면, 대승보살은 우리가 함꼐 구제되는 타인을 괴로움에서 벗어나도록 해줍니다. 
 

반야심경은 대승불교의 핵심사상으로
오온(색,수,상,행,식)이 공한줄 알면 
모든 괴로움이 사라지게 됩니다.

관세음보살의 설화가
지금의 독립신앙이 되었고,
대승보살은 육바라밀입니다.
본인만을 구제하는 소승불교와 다르게
대승불교는 고통받는 타인을 구제함으로써 
함꼐 행복해지는 것입니다.





출처 : 법륜스님 정토경전대학

LIST